HYU Social Innovation Center
건강하고 질 좋은 삶
GOOD HEALTH AND WELL BEING
· 학생, 교직원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증진을 지원한다.
· 지역사회의 건강과 웰빙을 위해 봉사하며, 학교의 자원을 지역 주민과 공유한다.
· 지역사회의 건강과 웰빙을 위해 봉사하며, 학교의 자원을 지역 주민과 공유한다.

Good Health and Well-Being
최제민 교수팀, 자가면역질환 원인 방관자T세포 역할 규명
SDGs-03
Author
Robin
Date
2019-05-02 09:21
Views
2020


▲최제민 교수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최제민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자가면역질환의 발병 원인으로써 방관자 T세포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지난 2월 25일 밝혔다.
자가면역질환은 우리 몸을 보호해야 할 면역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스스로를 공격하고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등이 있다.
우리 몸속에는 10-100억 개 가량의 T세포 클론이 존재한다. 병원균이 침투했을 때 T세포는 항원 특이적으로 반응하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T세포는 면역반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같이 항원에 반응하지 않는 T세포를 ‘방관자 T세포’라고 한다.


▲방관자 T세포의 다발성경화증 발병 및 진행에서의 역할. 방관자 T세포가 항원 인식과 관계없이 염증성사이토카인 IL-1β와 IL-23의 자극을 받아 활성화가 되면 중추신경계로 이동해 염증유발 단백질 (IL-17A, IFN-γ, GM-CSF)을 발현함으로써, 신경세포 항원 특이적 T세포와 함께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자가면역 다발성경화증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함. (그림= 한국연구재단)
최 교수팀은 방관자 T세포들이 면역반응을 방관하는 것이 아니라 항원 인식이 없이도 오히려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반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중추신경계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 경화증 생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신호물질인 인터루킨-1베타, 인터루킨-23에 의해 방관자 T세포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방관자 T세포는 척수 조직으로 이동해 인터루킨-17A, 인터페론-감마, GM-CSF 등의 신호물질을 분비함으로써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일으키고, 다발성 경화증 발병·진행에 크게 관여한다.
최제민 교수는 “이 연구는 방관자 T세포의 역할이 적응면역반응 및 자가면역질환의 발병 원인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자가면역질환 치료 신약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했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하며, “향후 방관자 면역세포들의 다양한 역할 및 이들을 표적으로 하는 자가면역치료제 개발 연구를 계속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월 12일 논문으로 게재됐다.
뉴스 원본 주소 : http://www.hanyang.ac.kr/surl/X0Zt
Total 851
Number | Thumbnail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15 |
![]() |
![]()
Kim Ja-kyung
|
2019.11.10
|
Votes 0
|
Views 1405
|
Kim Ja-kyung | 2019.11.10 | 0 | 1405 |
14 |
![]() |
![]()
관리자
|
2019.11.01
|
Votes 0
|
Views 2307
|
관리자 | 2019.11.01 | 0 | 2307 |
13 |
![]() |
![]()
관리자
|
2019.10.23
|
Votes 0
|
Views 2047
|
관리자 | 2019.10.23 | 0 | 2047 |
12 |
![]() |
![]()
Um Da-young
|
2019.07.31
|
Votes 0
|
Views 2286
|
Um Da-young | 2019.07.31 | 0 | 2286 |
11 |
![]() |
![]()
Robin
|
2019.05.02
|
Votes 0
|
Views 2100
|
Robin | 2019.05.02 | 0 | 2100 |
10 |
![]() |
![]()
Robin
|
2019.05.02
|
Votes 0
|
Views 2329
|
Robin | 2019.05.02 | 0 | 2329 |
9 |
![]() |
![]()
Robin
|
2019.05.02
|
Votes 0
|
Views 2020
|
Robin | 2019.05.02 | 0 | 2020 |
8 |
![]() |
![]()
Robin
|
2019.04.30
|
Votes 0
|
Views 2065
|
Robin | 2019.04.30 | 0 | 2065 |
7 |
![]() |
![]()
Robin
|
2019.04.30
|
Votes 0
|
Views 1890
|
Robin | 2019.04.30 | 0 | 1890 |
6 |
![]() |
![]()
Robin
|
2019.04.30
|
Votes 0
|
Views 1730
|
Robin | 2019.04.30 | 0 | 1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