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undation
Changes the world
Asia Pacific Youth Exchange
APYE
Photos of 2019 APYE KOREA
as well as in reg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It is held annually during vacation periods in the Philippines, Thailand, Vietnam, and Korea.
In the summer of 2018, Hanyang University jointly hosted the 2018 APYE Korea with UYA (Urban Youth Academy),
ADB (Asian Development Bank), and 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The 2018 APYE Korea, held under the theme "Social Venture for SDGs," brought together 160 youth participants from 16 countries.
From August 12 to 20, 2018, over 8 nights and 9 days, the program aimed to develop business models addressing social issues in Seongdong-gu,
such as educational gaps in multicultural families, waste recycling, childcare, information gap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ecline of traditional markets.
Participants teamed up with youth from the Asia-Pacific region to strengthen their abilities to empathize with local issues and design solutions. They engaged in Leadership Training,
which focused on solution design, Local Immersion, where they worked with local residents and mentors to develop solutions on-site, and a Symposium, where teams presented their ideas and participated in discussions.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reflect on how they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DGs, the shared go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ake a step forward in becoming global social innovation leaders.
On the final day of the event, participants held a campaign at Wangsimni Square, explaining the solutions they developed to Seongdong residents and encouraging their involvement.
The family of a Vietnamese migrant woma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visited Wangsimni Square
to support and cheer for the participants' presentations, leaving a touching impression on everyone.
Meanwhile, the Ttok Ttok team, part of the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group that studied Ttukdo Market, proposed plans and marketing solutions for the market's signature products
during the symposium. Their idea was recognized as an outstanding one. In the second semester,
they participated in a social venture boot camp to enhance the feasibility of their idea and are now preparing to implement it as a follow-up project.
The significance of the 2018 APYE Korea lies not merely in the 24 project ideas developed by over 160 participants, but in the meaningful process where youth from around the world came together,
albeit briefly, to address issues in the Seongdong area. Through this collaboration, they fostered mutual understanding and shared the inspiration of encouraging each other's growth.
This is because a true changemaker who transforms the world is a leader who understands others and supports their growth.
Meanwhile, the 2018 APYE Korea not only established itself as a program supporting the growth of Asia-Pacific youth but also served as an excellent opportunity for global networking among social innovation organizations. Many partner institutions sharing the vision of social innovation participated, including the LINC+ Project Group, the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the Asia-Pacific Research Center, the ERICA Campus Volunteer Corps, Seongdong District Office, Seongdong Youth Support Center, the Office of the Vic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SK Happiness Foundation, British Council, CSR Forum, Seongdo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eoul Upcycling Plaza, ChinHae Education Social Cooperative,
Seongdong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eongdong Sustainable Urban Center. Family Support Center, Seoul Upcycling Plaza, ChinHae Education Social Cooperative, Seongdong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eongdong Sustainable Urban Center.
.
Detailed Goals
■ Increase youth understanding of the SDGs.
■ Spread the SDGs to local communities and the world.
■ Develop the capabilities of youth for SDGs projects and activities.
■ Develop the region in a sustainable direction and encourage youth to contribute to this development.
■ Ensure that activities are not one-time events, but foster continuous development efforts.
APYE Leadership Traning
while teaching them methods for field research and project development.
1. Self-reflection and Understanding of SDGs
Participants are given ample time
to learn about and assess themselves,
allowing them to discover their own potential.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U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help participa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youth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in achieving the SDGs.
2. Development of Design Thinking
Through empathy, participants internalize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which helps them identify the "real problems"
and creatively develop solutions.
Through learning methods such as survey techniques, project development,
data analysis, and action plan creation, youth are empowered to take the lead
in solving problems
within local communities.
3. Team Building and Networking
Through team activities grouped by interest in specific SDG topics,
participants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build
teamwork with youth from diverse backgrounds.
Provide networking opportunities for youth leaders
in the Asia-Pacific region to actively participate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local communities.
APYE Local Immersion
and directly create and propose policies or projects to address these issues based on the SDGs.
1. Local Community Experience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research
with locals, as well as homestays, participants gain direct experience of the challenges
faced by the local community.
By applying the methodologies learned through leadership training in the field,
participants identify the real issues faced
by local residents and contemplate
fundamental solutions.
2. Experiencing the Necessity of SDGs and Promoting Their Spread
Participants learn how SDGs can bring about changes in local communities
and experience the necessity
of the SDGs firsthand.
Through interviews with locals and meetings with
government officials, participants explain the
APYE and SDGs and encourage participation, thus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 and spread of the SDGs.
3. Designing Local Problem-Solving Projects
Participants propose projects to solve local issues
using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interviews and research.
Each team presents their solutions to local
residents and government officials, receiving
feedback and advice on how to improve the
feasibility of their projects and make necessary adjustments.
APYE Local Immersion (Ansan)
APYE Symposium
of the projects. It is a time when the voices of young people take center stage.
1. Project Detailing and Showcase
Participants gather at the ADB or UNDP
headquarters to prepare their team solutions,
which were developed during the Local Immersion period.
Before the final presentation, a SDGs project showcase is held, where participants receive ,
feedback from other teams, visitors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local mentors, and incorporate their
suggestions into the presentation materials.
2. Final Presentation and Selection of Outstanding Projects
Participants present their solutions in fron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ADB and
UNDP, UYA, as well as local government and community stakeholders.
The projects are evaluated comprehensively
based on their feasibility, including aspects such
as securing funding, the effectiveness post-
implementation, and the potential for community involvement.
3. Discussion on the Post-APYE Phase
During the symposium, participants are informed
about the activities they can engage in with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local development,
and are guided to prepare for the next steps.
Projects that are evaluated as feasible solutions
during the presentations will receive support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artner institutions to help expand youth participation in the realization of the SDGs.
Exchange of ideas for SDGs by youth from 17 countries, DAY 4-5 ANSAN
먼저 참가자들은 주민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좀 더 심도 있는 인터뷰를 진행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전까지 있었던 ice-breaking이나 가벼운 인터뷰를 통해 어느 정도 가까워진 관계는 그들이 맞닥뜨리는 문제나 고민에 대해 진중한 대화를 나눌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대화를 나누며 다문화 이주민들이 실제로 겪는 어려운 점들에 대해 이해하고 그들에게 실질적으로 어떤 지원이나 서비스가 필요한 지 파악할 수 있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333"] ▲ APYE에 참여한 지역 주민들의 목록. 여러 분야의 주민들이 참여했다 [/caption]
참가자 팀들이 인터뷰한 사람들은 정말 다양한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국제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 온 사람부터 해외 유학생, 한국으로 출장을 온 외국 회사원, 다른 나라에서 대부분의 일생을 보낸 한국인까지 너무나 다른 인생을 살아온 사람들이 한데 모인 자리였다. 덕분에 참가자들은 평소에는 미처 생각지도 못한 분야에서도 문화적 차이에 의한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주민 참여자들과 인터뷰를 하고 있는 참가자들. 그들은 각각 다른 방면의 문제점들을 다루게 된다. [/caption]
점심을 마치고 난 뒤 참가자들은 안산 다문화 지원본부를 방문해 다문화와 관련한 안산의 모습에 대한 프레젠테이션과 소개 영상을 시청했다. 그 후 팀 별로 흩어져 안산 다문화 특구를 돌아다니며 프로젝트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들을 모으는 작업에 돌입한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한 안산 팀의 모습. 이들은 한식을 체험하기 위해 한식당을 찾았다. [/caption]
각 팀들이 집중하는 문제점이 각기 다른 만큼 수집하는 정보도 각양각색이었다. 다문화 체험관을 찾아 다른 나라의 전통 의상을 입어보는 팀도 있었고, 이주민들이 주로 사는 곳의 거주 환경에 주목하는 팀도 있었다. 공원이나 경로당 등에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노인들과 인터뷰를 하는 팀도 있었다. 그 곳에는 한국인 뿐만 아니라 중국인이나 태국인 이주민들도 많아 여러 의견을 들어볼 수 있었다.
특구 중심에 위치한 다문화 파출소를 방문해 경찰관들과 인터뷰를 한 팀도 있었다. 인터뷰에 흔쾌히 응한 경찰관들은 수 년 전만 해도 이곳이 정말 혼란스러운 곳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현재는 안산시와 경찰의 부단한 노력으로 그런 과거가 쉽게 연상되기 어려울 정도로 대부분의 거리가 말끔했다. 특히 이 파출소에서 경찰관으로 근무하고 있는 라포마라 경사는 캄보디아 이주민 출신으로, 다문화 가정의 한 구성원으로써 다문화 특구가 안정을 찾는 데 큰 역할을 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참가자들이 인터뷰에 응해준 송병석 경위(우측 상단)과 라포마라 경사(가운데 상단)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caption]
현장 실습을 끝마친 참가자들은 이후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의 학연산 클러스터 빌딩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현장에서 다문화 이주민들의 실태를 직접 눈으로 보고 피부로 느낀 탓인지 참가자들은 전보다 더 열정적인 모습으로 프로젝트에 임했다.
다음날인 23일, 참가자들의 오전 스케줄은 전날과 같은 지역 주민들과의 인터뷰 시간이었다. 전날의 연장선상에서 주민들과 함께 문제점들을 해결할 방법을 고민하는 동시에 전날 현장 실습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함께 의논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날 직접 현장에서 보고 느낀 게 많았던 덕분인지 이전보다 지역 주민들과 더 많은 공감대를 형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오후에는 팀 프로젝트를 발전시키는 모듈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다음날인 토요일 오후부터는 프레젠테이션 준비를 하기 때문에 팀 프로젝트를 다듬을 시간이 많이 남지 않은 상황이었다. 각 팀들은 지금까지 모은 정보와 자료들을 정리했다. 그 자료들을 팀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단계를 거치며 프로젝트의 모습을 천천히 구체화 해 나가기 시작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자료들을 카테고리에 맞춰 정리하는 한 팀의 모습 [/caption]
저녁 시간이 지난 후, 참가자들은 다시 학연산 클러스터 빌딩에 모였다. 각 팀의 프로젝트에 대해 대략적인 소개를 하는 자리였다. 각 팀이 모두 다른 사회 문제를 다루고 있어서인지 프로젝트들이 정말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한 팀도 있었고,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모델을 만든 팀도 있었다. 이주민들을 위한 앱이나 사이트를 만들려는 계획도 볼 수 있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팀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는 한 참가자의 모습 [/caption]
각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가 끝난 뒤, 참가자들은 모두 지친 모습이었다. 어제 있었던 힘든 외부 일정과 밤까지 이어진 프로젝트 진행, 그리고 이날 저녁까지 쉴 틈 없이 프로젝트에 매진해 온 탓이었다. 그러나 발표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 마음 놓고 휴식을 취하기도 어려웠다.
그 때 갑자기 안산 그룹의 퍼실리테이터가 예정에 없었던 게임을 진행했다. “Streams” 라는 보드게임으로 펜과 종이만 가지고 할 수 있는 게임이었다. 사회자가 1부터 30 사이의 숫자를 제시하면 규칙에 따라 원하는 빈 칸에 그 숫자를 적어 넣는 것이 진행 방법이었다. 그 숫자를 어느 빈칸에 넣느냐가 최종 점수를 좌우하는데, 사회자가 숫자를 부를 때마다 여기저기서 환호와 비명이 터져나왔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게임을 즐기며 환하게 웃고 있는 한 참가자의 모습. [/caption]
비교적 간단한 게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참가자들은 어느새 즐겁게 웃으며 활기를 되찾는 모습이었다. 빼곡한 스케줄로 인해 힘들어 할 참가자들을 위해 스태프들이 준비한 게임이 정말 효과가 좋았다. 그들이 이번 APYE를 위해 얼마나 많은 준비를 했는지 알 수 있는 순간이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팀 별로 진행된 보드게임에서 최고득점을 얻어 기뻐하는 한 팀의 모습 [/caption]
다가오는 일요일에는 안산시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프레젠테이션이 있고 바로 다음날인 월요일에는 APYE KOREA의 최종 프레젠테이션이 있을 계획이다. 쉴 틈 없는 일정에 참가자들의 부담감과 피로도가 점점 커질 것으로 예상되어, 토요일 오전에는 잠깐의 휴식차원에서 대부도로 짧은 견학을 다녀올 예정이다. 숨가쁘게 달려온 참가자들이 잠시나마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재충전의 시간이 될 것이다.
본 기획은 시리즈형식으로 업로드됩니다.
The articles will be continued in a serial form
한양대학교 사회혁신센터 미디어 홍보단
정민채 mijijuso84@naver.com
Number | Thumbnail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14 |
Jeong Min-chae
|
2019.10.16
|
Votes 0
|
Views 1074
|
Jeong Min-chae | 2019.10.16 | 0 | 1074 | |
13 |
Sim Yeo-eun
|
2019.10.14
|
Votes -1
|
Views 1029
|
Sim Yeo-eun | 2019.10.14 | -1 | 1029 | |
12 |
Jeong Min-chae
|
2019.10.14
|
Votes 0
|
Views 879
|
Jeong Min-chae | 2019.10.14 | 0 | 879 | |
11 |
Jeong Min-chae
|
2019.10.07
|
Votes 0
|
Views 891
|
Jeong Min-chae | 2019.10.07 | 0 | 891 | |
10 |
Jeong Min-chae
|
2019.09.30
|
Votes 0
|
Views 1096
|
Jeong Min-chae | 2019.09.30 | 0 | 1096 | |
9 |
Um Da-young
|
2019.09.18
|
Votes 0
|
Views 1026
|
Um Da-young | 2019.09.18 | 0 | 1026 | |
8 |
Jeong Min-chae
|
2019.09.18
|
Votes 0
|
Views 1061
|
Jeong Min-chae | 2019.09.18 | 0 | 1061 | |
7 |
Kim Ja-kyung
|
2019.09.17
|
Votes 0
|
Views 1014
|
Kim Ja-kyung | 2019.09.17 | 0 | 1014 | |
6 |
Sim Yeo-eun
|
2019.09.17
|
Votes 0
|
Views 934
|
Sim Yeo-eun | 2019.09.17 | 0 | 934 | |
5 |
Jeong Min-chae
|
2019.09.11
|
Votes 0
|
Views 985
|
Jeong Min-chae | 2019.09.11 | 0 | 9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