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선택

HYU Social Innovation Center

기후변화 대응

CLIMATE ACTION

· 지속적으로 기후변화 재난 연구를 진행하며 연구결과를 정부기관과 공유한다.
· 교내 구성원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기후변화 대응

김민경 교수,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 출판으로 '화학 전도사'로 나서

SDGs-04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9-11-05 10:38
조회
2485

"화학 만물박사라니… 민망한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슈가 됐던 '화학 만물박사'의 주인공 김민경 창의융합교육원 교수가 최근 저서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를 출간했다.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는 국립중앙도서관 '2019년 휴가철에 읽기 좋은 책' 100권에 선정됐다. 그는 세계 최초로 5G 통신기술을 활용한 텔레프레즌스 강좌 '생활 속의 화학' 교수로서 부지런한 교육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한양대 학생과 김민경 교수의 대화 캡처.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가 나오기까지  
책 집필의 시작은 1만2547kl(1만900t)의 원유가 태안 해역으로 유출됐던 지난 2007년 유조선 사고다. 김 교수는 "어린 아이들이 기름 닦아내는 모습을 보는 게 불편했다"고 말했다. "사람들이 원유 속에 들어 있는 벤젠과 톨루엔 같은 화학 물질이 만 13살 이하의 어린이들에게 치명적인 발암 물질이라는 것을 모른다는 게 아쉬웠어요.” 김 교수는 화학을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에게 조금이라도 화학을 알려보자는 취지로 '생활 속의 화학' 수업을 시작했다.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는 '생활 속의 화학' 강좌를 기반으로 최근 출간됐다.

▲ 김민경 창의융합교육원 교수 저서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 표지. (휴머니스트 제공)

 

책을 읽는 순간 당신도 우리 집 화학자

'우리 집에 화학자가 산다'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화학 정보가 많다. 식초로 생선을 구운 프라이팬  비린내 없애기와 라돈과 같은 실내 방사성 원소 저감을 위해서 미세먼지가 있는 날에도 환기하기 등 실제로 김 교수가 유용하게 적용하는 화학 지식을 담았다. 생선을 굽고 난 뒤 비린내를 없애는 방법으로 아세트산수용액(식초)을 이용한 ‘중화 반응’을 설명했다. 또 코팅 프라이팬, 비누와 자외선 차단제같이 실생활에 사용되고 있는 물질의 화학 원리와 응용 방식을 과학적으로 설명해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

▲ 김민경 교수는 뉴스H와의 인터뷰에서 "화학 지식의 내용을 쉽게 소개하기 위해 일반인의 눈으로 화학 성분을 바라봤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화학 물질을 거부하는 ‘노케미족(No-chemi族)'에게도 이 책을 추천했다. 김 교수는 "과학적으로 그들의 오해를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다"며 “많은 사람들이 갖고 있는 화학 물질에 대한 막연한 공포는 정확하게 알면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학 물질은 잘못된 장소와 시간에 과량이 존재할 때 문제가 될 뿐 현명하게 사용한다면 더 없이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물질입니다.”

 

텔레프레즌스 강의에 녹아낸 열정

 

김 교수는 현재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ㆍ원격 현실)를 활용한 ‘생활 속의 화학’ 수업을 맡고 있다. 텔레프레즌스는 원거리를 뜻하는 ‘텔레(Tele)’와 참석을 뜻하는 ‘프레즌스(Presense)’의 합성어다. 다른 공간에 있는 사람을 실물 크기로 보며 소통할 수 있는 '텔레프레즌스' 기술이 김 교수의 열정과 만난 것이다. 김 교수는 “모교 졸업생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강의를 후배들에게 소개해 보자는 마음에서 시작했다”며 "텔레프레즌스 강의가 활성화된다면 한양대학교뿐만 아니라 학점 교류 대학의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김민경 창의융합교육원 교수가 지난 3월 개설한 ‘생활 속의 화학’ 수업에서 동시에 4개의 강의실, 약 150여 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텔레프레즌스 강의는 수업 집중도가 떨어지는 대형 강의 단점을 해소한다. 현재 텔레프레즌스를 활용한 ‘생활 속의 화학’ 강좌는 서울캠퍼스 3개의 강의실과 ERICA캠퍼스 1개의 강의실에서 진행한다. 김 교수는 “수업 특성상 직접적인 교감이 떨어져 수업 난이도와 속도 조절의 어려움은 있지만 열린 마음으로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또는 개인 카카오톡 등을 통해 언제든지 질문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글/ 이현선 기자 qserakr@hanyang.ac.kr

사진/ 김주은 기자 coram0deo@hanyang.ac.kr

 

원문주소 http://www.hanyang.ac.kr/surl/PlxAB

전체 85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1 Cool City Research Group, 한양대학교 Urban Temp
Cool City Research Group, 한양대학교 Urban Temp
Cool City Research Group, 한양대학교 Urban Temp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170
HY_SDGs 2019.12.26 0 1170
10 그린캠퍼스 활동
그린캠퍼스 활동
그린캠퍼스 활동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182
HY_SDGs 2019.12.26 0 1182
9 한양대학교 기후변화대응센터, 기후변화 대응 위해 각종 단체와 협력
한양대학교 기후변화대응센터, 기후변화 대응 위해 각종 단체와 협력
한양대학교 기후변화대응센터, 기후변화 대응 위해 각종 단체와 협력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141
HY_SDGs 2019.12.26 0 1141
8 한양대 김태웅 교수, 국가 수문기상 재난안전 공동활용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
한양대 김태웅 교수, 국가 수문기상 재난안전 공동활용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
한양대 김태웅 교수, 국가 수문기상 재난안전 공동활용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196
HY_SDGs 2019.12.26 0 1196
7 한양대, 기후변화 대응 활동 및 정책 계획 후 지역사회와 공유
한양대, 기후변화 대응 활동 및 정책 계획 후 지역사회와 공유
한양대, 기후변화 대응 활동 및 정책 계획 후 지역사회와 공유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019
HY_SDGs 2019.12.26 0 1019
6 한양대, 기후변화 관련 특강 강의 및 캠페인 진행
한양대, 기후변화 관련 특강 강의 및 캠페인 진행
한양대, 기후변화 관련 특강 강의 및 캠페인 진행
HY_SDGs | 2019.12.26 | 추천 0 | 조회 1049
HY_SDGs 2019.12.26 0 1049
5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심여은 | 2019.11.11 | 추천 0 | 조회 1543
심여은 2019.11.11 0 1543
4 [알림] 교내에서 사용된 현수막, 에코백으로 재활용 한다.
[알림] 교내에서 사용된 현수막, 에코백으로 재활용 한다.
[알림] 교내에서 사용된 현수막, 에코백으로 재활용 한다.
심여은 | 2019.11.10 | 추천 0 | 조회 1911
심여은 2019.11.10 0 1911
3 한양대, 환경재단과 함께 플라스틱프리 캠퍼스 추진
한양대, 환경재단과 함께 플라스틱프리 캠퍼스 추진
한양대, 환경재단과 함께 플라스틱프리 캠퍼스 추진
심여은 | 2019.11.10 | 추천 0 | 조회 1820
심여은 2019.11.10 0 1820
2 한양대,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초청 강연회
한양대,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초청 강연회
한양대, 최열 환경재단 이사장 초청 강연회
김자경 | 2019.11.09 | 추천 0 | 조회 1509
김자경 2019.11.09 0 1509
ko_KR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