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선택

HYU Social Innovation Center

깨끗한 물과 위생

CLEAN WATER AND SANITATION

· 안전하고 저렴한 식수의 접근성을 높이는 연구를 선도한다.
· 위험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며, 식수오염 근절에 앞장선다.
깨끗한 물과 위생

한양대학교 신경훈교수 연구팀, 연안 생태계 내 자연적 및 인위적 유해물질의 다매체 분포, 생물축적 및 먹이망 전이 연구

SDGs-06
작성자
HY_SDGs
작성일
2019-12-26 14:34
조회
905
한양대학은 지역사회의 수질 관리 및 물 사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안 생태계 내 자연적 및 인위적 유해물질의 다매체 분포, 생물축적 및 먹이양 전이 연구를 하고있다

본 연구진은 해양환경으로 유입되는 자연적(남조류 기원) 및 인위적(공업단지 기원) 오염물질의 다매체 분포, 생물축적, 먹이망 전이 및 생태 위해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우리나라 강 하구역에서 다매체 환경 시료를 채집하여 분석하고 있다. 특히, 생태계 내 먹이망의 구조, 영양단계 및 탄소원을 아미노산 개별화합물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규명하고, 남조류 기원 독성물질(마이크로시스틴) 및 공업단지 기원 독성물질(SOs, PAHs)의 해양 시료 분석법 최적화, 다매체 분포 및 거동 특성 파악하며, 궁극적으로 ‘연안오염 감시 지표종 선정’, ‘연안환경 유해물질 오염원 규명’을 통해 연안 생태계 내 수질오염 저감 및 생태계 기반 환경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안 오염 지표종 및 오염원 추적 기법을 활용하여 보다 과학적인 근거를 통한 연안 환경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육상 유해물질이 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줌으로써 육상 기원 유해물질의 관리를 연안으로 확장시키는 정책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도출하고자하는 연안오염 감시 지표종은 해당 해역 전반의 오염도 및 위해도를 예측 및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생태계기반 환경관리(ecosystem-based management)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연안 오염 저감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안 유해물질의 생태계 전이를 저하시키고 안전한 수산물 수확의 증대에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PAHs 및 중금속과 아미노산의 동위원소 분석 기법은 다양한 연구 분야와 유관 환경 산업 분야에서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라북도 군산시 금강하구둑 내측의 모습. 녹조 알갱이가 하구둑을 통해 금강 하구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

(사진제공: 한양대학교 신경훈교수 연구팀)



여름철 집중강우시에는 하루에도 수 차례 방류를 한다

(사진제공: 한양대학교 신경훈교수 연구팀)



2018년 6월 전라북도 군산시 금강하구둑 외측에서 저서생물을 채집하고있는 연구원의 모습

(사진제공: 한양대학교 신경훈교수 연구팀)



2018년 6월 전라북도 군산시 금강하구둑 외측에서 표층퇴적물을 채집하고 있는 연구원의 모습

(사진제공: 한양대학교 신경훈교수 연구팀)
전체 85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3
2022년 폐수처리 프로세스 (Wastewater treatment - 2022)
hanyang u | 2023.11.06 | 추천 0 | 조회 65
hanyang u 2023.11.06 0 65
22
2022년 물 보전과 관련하여 지역/국가/국제 커뮤니티와 협업(Cooperation on water security - 2022)
hanyang u | 2023.11.06 | 추천 0 | 조회 58
hanyang u 2023.11.06 0 58
21
2022년 지속가능한 물 추출 기술 캠퍼스 내/외 사용 (Sustainable water extraction on campus - 2022)
hanyang u | 2023.11.06 | 추천 0 | 조회 61
hanyang u 2023.11.06 0 61
20
2022년 무료 식수 제공 (Free drinking water provided - 2022)
hanyang u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50
hanyang u 2023.10.27 0 150
19 2022년 물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을 교내 재배 (Water-conscious planting - 2022)
2022년 물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을 교내 재배 (Water-conscious planting - 2022)
2022년 물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을 교내 재배 (Water-conscious planting - 2022)
hanyang u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60
hanyang u 2023.10.27 0 160
18
[SDG 6.6.5] 한양대학교 ERICA, K-water와 MOU 체결
Hanyang SDGs Ambassador_Miji Gwak | 2023.10.26 | 추천 0 | 조회 92
Hanyang SDGs Ambassador_Miji Gwak 2023.10.26 0 92
17
2022년 물 사용 최소화 건축기준 적용 (Water-conscious building standards - 2022)
hanyang u | 2023.10.24 | 추천 0 | 조회 130
hanyang u 2023.10.24 0 130
16 2022년 물 재활용 정책(Water reuse policy - 2022)
2022년 물 재활용 정책(Water reuse policy - 2022)
2022년 물 재활용 정책(Water reuse policy - 2022)
hanyang u | 2023.10.24 | 추천 0 | 조회 123
hanyang u 2023.10.24 0 123
15 2022년 오염물질이 수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프로세스(Preventing water system pollution - 2022)
2022년 오염물질이 수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프로세스(Preventing water system pollution - 2022)
2022년 오염물질이 수질 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예방하는 프로세스(Preventing water system pollution - 2022)
hanyang u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32
hanyang u 2023.10.23 0 132
14 2022년 물 사용량 측정, 물 재활용 측정(Water consumption tracking, Water reuse measurement - 2022)
2022년 물 사용량 측정, 물 재활용 측정(Water consumption tracking, Water reuse measurement - 2022)
2022년 물 사용량 측정, 물 재활용 측정(Water consumption tracking, Water reuse measurement - 2022)
hanyang u | 2023.10.23 | 추천 0 | 조회 144
hanyang u 2023.10.23 0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