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선택

HYU Social Innovation Center

에너지 보장

AFFORDABLE AND CLEAN ENERGY

· 정부, 국내외 기관과 협력하여 에너지 공급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연구를 지속한다.
· 교내 재생 에너지 사용 비율을 향상시킨다.
에너지 보장

고민재 교수 공동연구팀,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SDGs-07
작성자
김용은
작성일
2020-11-30 21:26
조회
758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3.4%에서 14.1%로 올려

한양대 고민재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DGIST 김영훈 에너지융합연구부 박사팀과 공동으로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기술은 빛에너지 전기발광 특성도 동시에 갖추고 있어,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과 다기능성 광전소자, 라이파이 등 광기술 개발 및 상용화에 기여할 할 것으로 기대된다.

양자점은 빛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넓은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핵심 소재로 꼽힌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양자점 태양전지 분야에서 가장 높은 효율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우수한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긴 탄화수소 체인을 가진 유기 리간드가 이용된다. 리간드는 10나노미터(nm) 정도의 작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들 표면에 흡착해 다양한 무극성 용매에 분산이 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양자점을 기판 위에 잘 배열, 양자점 태양전지가 만들어진다. 이때 양자점 표면에 흡착된 긴 체인의 리간드는 양자점 간의 전하이동을 어렵게 해 태양전지 성능을 저하시켜 짧은 탄화수소 체인을 가진 리간드로 치환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연구팀은 벤젠 그룹 기반 '페네실라모늄(Phenethylammonium, PEA)' 리간드가 가진 물 분자와 잘 결합하지 않는 소수성에 주목했다. 또한 이를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표면에 안정적으로 흡착시키는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효율을 14.1%까지 향상시켰고, 약 15일 간 실제 외부환경과 같은 조건인 상대습도 20~25%에서 90% 이상의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유지하는 안정성도 추가로 확인했다.

김영훈 박사는 "짧은 탄화수소 체인을 가지면서 소수성을 갖는 리간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성능 및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양대학교 김지건 화학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생 및 DGIST 에너지융합연구부 위촉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고, 에너지과학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rgy)' 6월 1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짧은 소수성 리간드인 페네실라모늄 리간드가 도입딘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성능 및 안정성 평가. (출처: DGIST)
전체 85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43 [SDG 7.4.2] 한양대, 서울대 등과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 컨소시엄 구성
[SDG 7.4.2] 한양대, 서울대 등과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 컨소시엄 구성
[SDG 7.4.2] 한양대, 서울대 등과 '탄소중립 ESG 미래선도 실전문제연구단' 컨소시엄 구성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07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2023.10.27 0 107
42 [SDG 7.4.2] 상병인 교수, 기후위기·탄소중립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에서 ‘수송분야의 탄소중립 실행방안’ 주제로 발표
[SDG 7.4.2] 상병인 교수, 기후위기·탄소중립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에서 ‘수송분야의 탄소중립 실행방안’ 주제로 발표
[SDG 7.4.2] 상병인 교수, 기후위기·탄소중립시대 바이오연료의 역할 국제심포지엄에서 ‘수송분야의 탄소중립 실행방안’ 주제로 발표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13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2023.10.27 0 113
41 [SDG 7.4.4] 천영길 동문, 산업부 신임 에너지산업실장에 임명돼
[SDG 7.4.4] 천영길 동문, 산업부 신임 에너지산업실장에 임명돼
[SDG 7.4.4] 천영길 동문, 산업부 신임 에너지산업실장에 임명돼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01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2023.10.27 0 101
40 [SDG 7.4.4]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 안전한 원전해체 위한 지침서 2종 발행
[SDG 7.4.4]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 안전한 원전해체 위한 지침서 2종 발행
[SDG 7.4.4] 한양대 원전해체연구센터, 안전한 원전해체 위한 지침서 2종 발행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 2023.10.27 | 추천 0 | 조회 117
Hanyang SDGs Ambassador_Youngmoo Kim 2023.10.27 0 117
39 한양대 'RAISE' 팀, '2020년 미래 원자력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한양대 'RAISE' 팀, '2020년 미래 원자력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한양대 'RAISE' 팀, '2020년 미래 원자력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이유정 | 2021.01.10 | 추천 0 | 조회 1069
이유정 2021.01.10 0 1069
38 이주 교수, '대한전기학회 학술상' 수상
이주 교수, '대한전기학회 학술상' 수상
이주 교수, '대한전기학회 학술상' 수상
이유정 | 2021.01.10 | 추천 0 | 조회 845
이유정 2021.01.10 0 845
37 장재영 교수, 체온으로 전기 생산하는 소재 개발
장재영 교수, 체온으로 전기 생산하는 소재 개발
장재영 교수, 체온으로 전기 생산하는 소재 개발
이유정 | 2021.01.10 | 추천 0 | 조회 1028
이유정 2021.01.10 0 1028
36 최창환 교수팀, 반도체 성능향상과 저전력 구현하는 新공정 개발
최창환 교수팀, 반도체 성능향상과 저전력 구현하는 新공정 개발
최창환 교수팀, 반도체 성능향상과 저전력 구현하는 新공정 개발
이유정 | 2021.01.10 | 추천 0 | 조회 1014
이유정 2021.01.10 0 1014
35 [우수R&D] 김한수 교수, 성층권에서 사용 가능한 무인 항공기 이차 전지 개발 도전
[우수R&D] 김한수 교수, 성층권에서 사용 가능한 무인 항공기 이차 전지 개발 도전
[우수R&D] 김한수 교수, 성층권에서 사용 가능한 무인 항공기 이차 전지 개발 도전
김영원 | 2020.12.01 | 추천 0 | 조회 867
김영원 2020.12.01 0 867
34 ‘전분 배터리’로 전기차 주행거리 2배 늘린다
‘전분 배터리’로 전기차 주행거리 2배 늘린다
‘전분 배터리’로 전기차 주행거리 2배 늘린다
김영원 | 2020.12.01 | 추천 0 | 조회 988
김영원 2020.12.01 0 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