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선택

HYU Social Service Team

한양대학교 지속가능발전목표 선언문(SDGs)

한양대학교는 ‘사랑의 실천’이라는 건학정신을 바탕으로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재를 양성합니다.
한양의 인재는 이웃, 지역사회, 나아가 전 세계를 위해 배움을 실천하는 리더로서의 책임을 다할 것입니다.

한양의 인재상은 모든 세계시민이 함께 이루고자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철학과 맞닿아 있습니다.
우리 한양인은 시대가 요구하는 대학의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함께할 것을 아래와 같이 선언합니다.

1 빈곤 증식

2 기아 종식

3 보건 및 웰빙

4 양질의 교육

5 성평등

6 깨끗한 식수

7 에너지 보장

8 경제성장

9 인프라 구축과 산업화 확대

10 불평등 감소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거주지 조성

12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양식 확립

13 기후변화 대응

14 수자원 보호

15 육상 생태계 보호

16 평화롭고 정의로운 사회 증진과 제도 구축

17 이행수단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한양의 지속가능발전목표 행동

17개국 청년들의 SDGs를 위한 아이디어 교류, <2019 APYE KOREA> DAY 2

SDGs-17
작성자
엄다영
작성일
2019-09-09 17:55
조회
1148
2019 APYE KOREA 두 번째 날에는 SDGs와 국제 · 지역 개발 협력에서 청년들이 가지는 중요성과 현지 조사 방법 및 프로젝트 개발 방법에 대한 리더십 트레이닝을 이어갔다.

먼저 오전에는 다음날부터 있을 현장 실습에 대비해 ‘지역 사회 참여’, ‘문제 해결의 도구와 방법들’을 주제로 한 워크샵을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문화 마케팅, 새로운 시장 탐색 방법, 제품과 서비스의 채택을 촉진하는 콘텐츠를 만드는 도구들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
오후에는 APYE와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을 들어보는 시간이 있었다. 한양대학교는 APYE 참가자를 중심으로 2017년부터 14팀의 소셜 벤처 창업팀을 육성하고 발굴하고 있으며, ‘카이나 식당’이 그 중 하나의 사례로 소개되었다. 카이나 식당은 한양대학교 학생들이 필리핀 미혼모들과 함께한 소셜 벤처 기업이다. 필리핀 아테네오 대학 내 구내식당에서 김밥, 라면, 김치볶음밥 등의 한국음식을 판매했고 성공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학생들이 직접 사회문제에 대해 고민하여 도출한 아이디어에서 시작해 필리핀 여성 자립을 돕는 결과로 이어지는 사회혁신의 좋은 예시로 남았다. 또 다른 예시로 첫날에도 소개했던 LUNA 프로젝트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러한 두 사례를 통해 사회혁신의 범위를 한국을 넘어 전세계로 확장해 나가는 한양대학교의 움직임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LUNA(Light Up the NAtion)프로젝트의 초창기 멤버인 Waqas Tanoli가 강연을 하고 있다.[/caption]

다음으로 박준규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의 ‘Multiculturalism in Korea(한국에서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문화권별로 문화에 대한 의미를 돌이켜보며 참가자들이 ‘다문화주의’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박준규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의 ‘한국에서의 다문화가정’을 주제로 한 강연이 이어지고 있다.[/caption]

그 후 현장 실습에 대비해 사회적 과제를 보다 심도있게 다룰 수 있는 ‘브리핑과 조사’에 대한 교육을 마무리로 이틀에 걸친 리더십 트레이닝이 끝을 맺었다. 앞으로 참가자들은 서울, 안산, 대구로 나뉘어 직접 지역 공동체를 경험해보고 지역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설계해보는 Local Immersion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리더십 트레이닝을 마치기 전, 이번 APYE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김은주 코디네이터(한양대 경영 17)과 인터뷰를 가졌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김은주 코디네이터가 쉬는 시간을 이용해 인터뷰에 응해주고 있다.[/caption]

Q. 이번 APYE에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퍼실리테이터와 코디네이터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 코디네이터는 프로그램을 총괄해서 운영을 하는 역할을 하고, 퍼실리테이터들은 참가자들을 잘 보살피는 역할입니다. 전반적으로 보자면, 코디네이터는 퍼실리테이터를 관리하고, 퍼실리테이터가 참가자들을 관리하는거죠.

Q. 내일부터는 지역별로 나뉘어서 활동하게 되는데,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간단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지금까지는 참가자들이 활동에 필요한 마인드셋과 리더십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었고, 이제 Local Immersion부터가 실전입니다. 앞으로 참가자들은 인간중심설계(HCD; Human Centered Design)에 대해 더 자세히 배우게 됩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지역 주민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이 핵심 활동입니다. 참가자 팀들은 매일 진행되는 모듈에서 요구하는 과제들을 하나씩 수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은 밖으로 나가서 주민들과 인터뷰를 하는 등 지역사회 사람들과 직접 만나는 활동을 하게 됩니다. 그 외에는, 사람들과의 원활한 협동과 소통을 위한 Bonding시간, Ice-breaking과 같은 것들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Q. 정확히 HCD는 무엇인가요?

: HCD는 Human Centered Design의 약자로써 사람을 가장 먼저 생각하는 디자인입니다. 큰 기술이 필요한 게 아니라 원래 있던 것도 어떻게 하면 사람들이 좀 더 편하게 쓸 수 있는지 고민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자판기의 밑에 있는 음료 출구를 위로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이 HCD입니다.

Q. 마지막으로 이번 APYE에 다양한 국적의 참가자들이 있는데, 이들을 위해 특별히 신경 쓴 점은 무엇인가요?

: 일단 개인적으로 신경 쓴 점은 언어, 정말 힘들고요 (웃음), 이전까지는 영어로 한 번도 대화 해본적이 없었습니다. 읽고 쓰는 것보다 회화 위주 공부를 했고 다양한 표현을 캐치하기 위해서 많이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그녀의 영어 실력은 그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자연스러웠다)
사실 코디들이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참가자들의 지속적 커뮤니티 형성입니다.

(재참가율이 높나요?)

네, 대여섯번정도 참여한 참가자도 있습니다. 제가 작년 1월 APYE THAILAND에 참여했을 때 다시 못 볼 거라고 생각했던 친구도 와있습니다. SDGs를 달성하기 위해선 2주라는 시간은 상당히 짧기 때문에 동일한 목표를 가진 참가자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caption id="" align="aligncenter" width="500"] ▲ 참가자들이 SDGs 판넬을 들고 환한 미소와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이들은 다음 날부터 지역별로 흩어져 활동하게 된다.[/caption]

이틀 간의 리더십 트레이닝을 마치며, 참가자들의 SDGs 실현에 대한 열정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남은 Local Immersion(지역별로 나뉘어 직접 현장에서 하게 되는 활동)의 결과가 더욱 기대되는 바이다.

본 기획은 시리즈형식으로 업로드됩니다.

업로드 후에 영어 번역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The articles will be continued in a serial form

English version will be updated soon

한양대학교 사회혁신센터 미디어 홍보단

정민채 mijijuso84@naver.com

엄다영 allzero@hanyang.ac.kr
전체 85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151 한양대·전력연구원·전기연구원·LS전선 등과, 시험장 활용 MOU 체결
한양대·전력연구원·전기연구원·LS전선 등과, 시험장 활용 MOU 체결
한양대·전력연구원·전기연구원·LS전선 등과, 시험장 활용 MOU 체결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537
엄다영 2019.11.11 0 537
150 한양대 경영대학, PBL 수업 성과공유회 개최
한양대 경영대학, PBL 수업 성과공유회 개최
한양대 경영대학, PBL 수업 성과공유회 개최
심여은 | 2019.11.11 | 추천 0 | 조회 936
심여은 2019.11.11 0 936
149 [우수R&D] 박완준 교수, BK21 PLUS 사업에 선정
[우수R&D] 박완준 교수, BK21 PLUS 사업에 선정
[우수R&D] 박완준 교수, BK21 PLUS 사업에 선정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694
엄다영 2019.11.11 0 694
148 [알림] 한양대, 혁신적 아이디어 가진 예비창업자 모집
[알림] 한양대, 혁신적 아이디어 가진 예비창업자 모집
[알림] 한양대, 혁신적 아이디어 가진 예비창업자 모집
심여은 | 2019.11.11 | 추천 0 | 조회 753
심여은 2019.11.11 0 753
147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양캠퍼스 최종 2단계 통과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양캠퍼스 최종 2단계 통과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양캠퍼스 최종 2단계 통과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570
엄다영 2019.11.11 0 570
146 한양대구리병원, ‘당뇨망막병증’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당뇨망막병증’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당뇨망막병증’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684
엄다영 2019.11.11 0 684
145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한양대구리병원, ‘건강한 다리’ 주제로 건강강좌 성료
심여은 | 2019.11.11 | 추천 0 | 조회 671
심여은 2019.11.11 0 671
144 장재영 교수, 플라스틱 이용한 전기 생산의 길 열어
장재영 교수, 플라스틱 이용한 전기 생산의 길 열어
장재영 교수, 플라스틱 이용한 전기 생산의 길 열어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888
엄다영 2019.11.11 0 888
143 MBC '100분 토론' 출연 노성원 의학과 교수와 게임중독을 파헤치다
MBC '100분 토론' 출연 노성원 의학과 교수와 게임중독을 파헤치다
MBC '100분 토론' 출연 노성원 의학과 교수와 게임중독을 파헤치다
심여은 | 2019.11.11 | 추천 0 | 조회 972
심여은 2019.11.11 0 972
142 한양대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 재능기부 위한 협약 체결
한양대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 재능기부 위한 협약 체결
한양대 대학원 체육학과, 스포츠 재능기부 위한 협약 체결
엄다영 | 2019.11.11 | 추천 0 | 조회 643
엄다영 2019.11.11 0 643